
혹시 지루함을 견디지 못해 의미 없는 클릭으로 시간을 채우고 있지는 않나요? 끝없는 자극의 홍수 속에서 잠시라도 가만히 있으면 불안해지는 우리에게, 현대 사회는 너무나 쉬운 해결책들을 제시합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편안함을 추구하면 할수록 우리의 삶은 더욱 공허해져만 갑니다.
우리를 중독시키는 '결핍의 고리'의 작동 원리를 알았다면, 이제 가장 중요한 질문이 남습니다. "어떻게 해야 이 지긋지긋한 도박판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까?" 그 해답은 의외로 단순하지만, 결코 쉽지는 않은 곳에 있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여행의 비밀
책 <가짜 결핍>의 저자 마이클 이스터는 놀라운 통찰을 공유합니다. 저널리스트로서 수많은 여행을 다녔던 그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여행은 무엇이었을까요? 편안한 5성급 호텔에서의 휴양이 아니었습니다.
"돌이켜보면 가장 기억에 남는 취재 여행은 꼭 무언가 잘못돼서 직접 문제를 해결해야 했던 여행이었다. 문제 없이는 이야기도 없다."
그렇습니다. 우리 뇌에 가장 깊은 만족감을 주는 것은 안락함이 아니라, 바로 '힘들여 무언가를 얻는 경험'입니다. 현대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생존에 필요한 모든 것을 너무나 쉽게 얻을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우리의 원시적인 뇌는 이런 '쉬운 자극'에 만족하지 못하고, 결국 무의미한 클릭으로 부족한 자극을 채우려 하는 것입니다.
'힘든 경험'이 뇌를 만족시키는 과학적 이유
왜 하필 '힘든 경험'일까요? 여기에는 깊은 심리학적, 신경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격언이 아닙니다.
1. 우리는 '몰입(Flow)'하도록 설계되었다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자신의 능력과 과제의 난이도가 절묘하게 균형을 이룰 때 경험하는 최적의 상태를 '몰입(Flow)'이라고 명명했습니다(Csikszentmihalyi, 2014). 몰입 상태에 빠지면 우리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자아를 잊을 정도로 깊이 집중하며, 그 과정 자체에서 엄청난 만족감을 느낍니다. 중요한 것은, 몰입은 결코 TV를 보거나 SNS를 할 때처럼 수동적인 활동에서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오직 나의 능력을 한계까지 밀어붙이는 '도전적인 과제'를 수행할 때만 경험할 수 있습니다.
2. 인간의 3대 기본 욕구를 채운다
심리학의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따르면, 인간에게는 행복과 의미 있는 삶을 위해 반드시 충족되어야 할 3가지 내재적 욕구가 있습니다(Ryan & Deci, 2000).
- 유능감(Competence): 내가 환경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능력이 있음을 느끼고 싶은 욕구
- 자율성(Autonomy): 내 행동이 스스로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고 느끼고 싶은 욕구
- 관계성(Relatedness): 다른 사람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고 소속감을 느끼고 싶은 욕구
생각해보세요. '힘들여 무언가를 얻는 경험'은 이 모든 것을 완벽하게 충족시킵니다. 어려운 문제를 내 힘으로 해결하며 '유능감'을, 누가 시키지 않은 도전을 스스로 해내며 '자율성'을, 그리고 그 경험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며 '관계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쉬운 자극은 결코 이 깊은 만족감을 줄 수 없습니다.
'결핍의 고리'를 '풍요의 고리'로 바꾸는 법
사냥꾼이자 탐험가인 로라 제라는 최소한의 자원만 가지고 거친 자연으로 들어갑니다. 많은 백만장자들이 그녀의 삶을 동경해 함께 탐험을 떠났지만, 대부분 돈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들며 탐험을 '쉽게' 만들었고, 결국 아무것도 얻지 못했습니다. 제라는 말합니다. 더 적은 자원으로 모험을 떠날 때, 현재에 더 깊이 몰입하고 진정한 해방감을 느낀다고 말이죠.
우리 뇌의 '결핍의 고리'는 중독을 만들기 위해 생긴 것이 아닙니다. 본래는 식량 탐색처럼 생존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할 때, 우리의 집중력과 끈기를 높여주기 위해 만들어진 '생존 엔진'이었습니다. 즉, 힘들고 어려운 시도를 인간이 끝내 극복하게 만드는 위대한 힘입니다.
우리가 이 엔진을 SNS나 쇼핑 같은 '쉬운 자극'에 사용하면 '중독의 고리'가 되지만, 나의 성장을 위한 '의미 있는 도전'에 사용하면, 그것은 우리에게 깊은 만족감을 주는 '풍요와 몰입의 고리'로 바뀝니다.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불편함'
거창할 필요는 없습니다. 돈이 아니라 온전히 나의 힘, 나의 머리, 나의 끈기로 무언가를 해결해보는 작은 경험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 새로운 기술 배우기: 한 번도 다뤄보지 않은 악기를 배우거나, 외국어 공부, 코딩 강의를 들어보세요. 처음의 막막함을 넘어 작은 성공을 이뤘을 때의 성취감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습니다.
- 몸을 움직여 도전하기: 주말에 가벼운 등산을 하거나,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을 따라 달려보세요. 육체적 한계에 부딪히고 그것을 극복하는 경험은 강력한 유능감을 선사합니다.
- 손으로 무언가 만들기: 복잡한 요리에 도전하거나, 작은 가구를 조립하거나, 식물을 키워보세요. 디지털 세계에서 벗어나 현실 세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험은 우리에게 깊은 안정감과 만족감을 줍니다.
진정한 충만함은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기꺼이 불편함을 감수하고 내 능력의 한계에 도전하는 과정 속에서만 발견됩니다. 쉽게 얻을 수 있는 자극의 유혹을 잠시 내려놓고, 당신만의 '힘들여 얻는 경험'을 찾아보세요. 그 작은 도전의 과정에서, 끝없이 공허했던 당신의 삶이 진짜 '풍요'로 채워지기 시작할 것입니다.